'기타.Others' 카테고리의 글 목록 (24 Page)
본문 바로가기

기타.Others

(271)
뜨거운감자 말의 유래 감자는 미국이나 유럽의 중요한 식품이죠 구운감자를 많이 먹는데 오븐속의 감자는 겉보기는 식은듯해도 속이 아직 뜨거운경우가 있죠 한입베어물면 뱉지도 삼키지도 못하는 상황이 생기죠 정치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다루기는 다루어야하는데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문제를 뜨거운 감자에 비유합니다 요즘은 그런 중요한 문제가 아니더라도 다루기 난처한 문제에대해 이런 비유를 많이 사용합니다 유래는 굳이 따지면 미국인들의 식탁에서 입니다
생식 능력이 없는 노새 노새는 암말과 당나귀 수컷 사이에서 태어난 종간 잡종입니다. 또한 라이거는 수사자와 암호랑이 사이에서 태어난 잡종이며, 수호랑이와 암사자 사이에서 태어난 티글론도 같은 종간 잡종입니다. 그런데 이런 잡종들은 대부분 생식능력이 없습니다. 이들 잡종들이 생식세포를 만들기 위해 감수분열을 할 때 양친으로부터 받은 염색체가 달라 접합이 이뤄지지 않아 정상적인 배우자를 만들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감수분열 전기에 상동염색체는 각각 접합해 2가 염색체(사분염색체)를 형성하고, 이것이 적도면에 배열된 다음 양쪽으로 갈라지게 됩니다. 그런데 노새는 상동염색체가 너무 달라서 서로 인식하지 못해 접합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염색체가 무작위로 분리되고 결국 비정상적인 배우자가 만들어지므로 생식이 되지 않습니다. 이..
마사이족의 인사는 침뱉기 우리나라에서 얼굴에 침을 뱉는 행동은 굉장히 불쾌하고 감정상하거나 싸움날 정도죠?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나라에서도 그럴 것입니다. 그러나 아프리카 사막의 한 부족인 마사이족에게 이런 행동이 의미하는 바는 조금 다릅니다. 마사이족에게 침을 뱉는 행동은 반가움을 표현하는 인사 라고 합니다. 그 유래는... 옛부터 마사이족에는 물이 부족하였고, 그 때문에 자신의 몸에 있는 수분 또한 귀하게 여겼습니다. 자연스럽게 침을 뱉는 행동은 귀한 것을 함께 나눈다는 의미를 담게 되었고 그것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박보검의 인사법아프리카의 도로상황흑형의 스트리트 패션, 아프리카 패션, 흑형 간지
지하철 2호선 새 열차 짐칸이 없어졌다... ㅠㅠ 뉴욕의 지하철 풍경지하철 백팩 공해 해결지하철 불이 꺼지는 구간(사구간)이 있는이유광명시 소하동에 KT 임대주택 사업추진친환경 에너지 이용한 이색 스마트폰 충전기 10가지건강하게 눈을 유지하는 방법
브레이크를 자주 밟으면 기름이 더 드나요? 브레이크를 밟아서 연료소모가 많은것이 아니라 그만큼 연료를 많이 사용하여 속도를 올려 놓은것을 다시 강제로 줄여야 하니 상대적으로 100미터 갈수 있는연료로 80미터만 가고 브레이크로 정지하였으니 20미터 정도의 연료가 손해라는 뜻이지요 그리고 브레이크로 정지 하였으니 다시 출발할려면 그만큼 더 연료가 소모되고요... 주행중을 기준으로 생각을 해보도록 하지요... 주행중에 여러분의 발은 악셀레이터를 밟고 있지만 깊이 밟지는 않지요? 그렇지만 출발시는 악셀을 깊이 밟게 됩니다. 깊이 밟는 만큼 엔진에 연료를 많이 보내게 되지요... 그만큼 많이 소모한다는 뜻 입니다. 그렇지만 악셀을 아주 적게 밟고 있으면 차량의 속도가 점점 가속이 붙어서 나중에는 100킬로 이상까지 올라갑니다. 그러니 첨부터 깊이 밟지말..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가 멸망하는 이유 꿀벌이 멸종하면 나비나 호박벌이나 다른 곤충등의 도움을 받아서 식물을 수분하면 된다고 많은 사람들이 신경을 쓰지는 않지만, 꿀벌이 있어야만 우리가 재배하는 농산물의 70~80%를 수분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정확히 말하자면 전세계 속씨식물 가운데 20만종 모두가 곤충의 도움을 받는데, 그중 17여만종이 꿀벌의 도움을 받아서 꽃가루받이를 합니다. 그리고 꿀벌이 없으면 꽃가루받이를 못하는 종만도 4만여종이나 됩니다. 그 중에는 딸기와 아몬드가 있습니다. 그리고 사람이 재배하는 세계 100대 작물중 71개가 꿀벌없이는 열매를 맺지 못합니다.(수박, 오이등의 과채류)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소고기도 먹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소고기를 먹일 목초가 자라지 못해서 소를 먹이지 못해 소를 키울 수 없는 환경에 ..
별이 반짝거리는 이유 빛은 공기에서 물속으로 진입할때, 굴절을 하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우주에서 날아온 별빛이 지구 대기 및 수증기를 지날때, 굴절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지구 대기나 수증기는 항상 움직이고 있어서, 지상에서 별을 관측하는 사람에게는 별 빛의 굴절 방향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결국 별 빛이 반짝 거리는 것처럼 보이게 되죠. 지구 대기의 이동 속도가 빠르면 빠를 수록 반짝거리는 정도는 더 큰데, 이것을 보고 시상효과(Seeing Effect)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시상효과 때문에 천체 관측시 분해능이 100배나 떨어지는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천문학에서는 1990년대부터는 적응광학이란 분야가 새로 생길 정도였죠.
취업률 상위 10개 학과 10개중 8개가 병원에 취직.. 미래산업은 늙고 병든 국민들을 위한 .. 병원이나 요양원등에서 일한 인력만 수요가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