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스텔라'를 보며 떠오르는 과학적 의문
본문 바로가기

'인터스텔라'를 보며 떠오르는 과학적 의문


2014. 11. 22.

인류가 생존을 포기하고 떠나야 할 정도로 지구가 최악의 상태가 될 수 있을까? 최근 영화관을 점령하고 있는, SF영화 인터스텔라의 전제가 바로 이것이다.

'인터스텔라'를 보며 떠오르는 과학적 의문

환경 파괴는 우주를 소재로 한 영화들이 흔히 이용하는 소재다. 다만 인터스텔라는 신선한 시각으로 이 문제를 다룬다. '우주 전쟁'에서 '오블리비언'까지 대다수 영화에서는 자신들의 행성이 파괴된 외계인들이 지구를 습격한다. 이젠 호모 사피엔스가 우주를 점령할 차례다.

영화가 시작되면서 우리가 알게 되는 것은 식량과 먼지 문제다. 식량은 충분하지 않고 먼지는 넘쳐난다. 무슨 이유로 이런 상황이 벌어졌는지 명확하지 않지만 (국제 청소노동자조합의 파업 때문일 수도 있겠다) 감당하기 어려운 기후변화로 인해 우리 행성이 흙먼지로 뒤덮였다. 이런 세상에서는 식량 재배가 가장 중요하게 되는데, 재배 가능한 곡물이라고는 옥수수뿐이다. 물론 옥수수가 돈만 있다면 영화관 로비에서 얼마든지 사 먹을 수 있는 식품이라는 사실은 무시하기 힘든 대목이다.

환경 파괴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자 우리의 후손은 지구를 떠나기로 한다. 이 부분은 좀 현실성이 없어 보인다. 지구가 도저히 살 수 없는 곳이 되는 속도보다 문제를 해결하는 속도가 더 빠를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 가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은 앞으로 지구에서 살기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점이다. 쉽게 채취할 수 있는 자원은 충분하지 않다. 내가 말하는 자원은 석유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대체하기 더 어려운 구리 아연 백금 같은 것이다. 아마 한 세기 내에 이런 물질이 너무 비싸져서, 도둑이 집에 들어와서 초대형 TV는 외면하고 벽 속에 있는 동 파이프를 떼어 도망가는 일이 벌어질지도 모른다.

영화의 전제에 약간 억지스러운 면이 있지만 우리 후손이 지구를 언젠가 탈출하게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또 이것은 영화에서 가장 큰 허구적 부분도 아니다. 가장 의심스러운 부분은 우주선의 목적지다.

우리 은하계에는 약 1조개의 행성이 존재하고, 그 중 약 100억(어쩌면 1,000억)개가 지구와 유사할 것으로 추정된다. 많으면 많을수록 좋겠지만 이 정도면 충분하지 않을까. 하지만 인터스텔라의 주인공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 굳이 웜홀(worm hole)을 통해 우주의 다른 부분으로 이동한다. 아니, 아예 다른 우주일 수도 있다. 또 우주의 지름길인 블랙홀이 우연히도 우리가 우주선으로 몇 년이면 접근할 수 있는 토성 근처에 있다는 사실에 난 놀랐다. 또 지난 십여년간 토성을 돌면서 관찰하고 있는 NASA의 카시니(Cassini)호가 이런 대단한 발견을 하지 못했다는 사실 또한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NASA가 이미 이런 엄청난 사실을 알면서도 후폭풍이 두려워서 발표를 하지 않을 것을 수도 있지만 말이다.

솔직히 이런 작은 블랙홀(우리 태양계에 존재하려면 작을 수밖에 없다)을 통해 우주 이동이 가능한지는 확실치 않다. 칼텍의 웜홀 전문가인 킵 손(Kip Thorne)이 영화에 참여했다고 하니 블랙홀을 이용한 이동 원리에 대해 왈가왈부하지는 않겠다. 그가 가능하다고 하면 나도 가능하다고 믿는다. 웜홀의 존재는 필수적인데 그렇지 않으면 새로운 행성을 찾아나선 개척자들이 영화의 남은 시간은 물론이고 앞으로 30억년 이상 우주선을 타고 날아가도 겨우 가장 가까운 다른 은하계에나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정도라면 관객은 지루해질 수밖에 없고 우주인들은 죽을 수밖에 없다.

이 영화를 보면서 자동으로 떠오르는 의문은 또 있다. 이주할 거라면 지구와 비슷한 행성을 찾는 것이 당연하다. 아주 기초적으로 산소 정도는 있어야 한다. 그런데 지구의 대기를 덮고 있는 산소는 지구의 식물로 인해 수십억 년 동안 생성된 것이다. 따라서 지구와 비슷한 수준의 산소가 있는 행성을 찾는다면 거기에도 생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즉 자체적인 생명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인간이 이런 행성의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느냐는 문제는 차치하고라도 식물이 풍성하다는 뜻은 동물도 존재한다는 뜻인데, 그들은 인간의 방문을 반기지 않을 수도 있다.

나만의 생각일까?

그런데 지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훨씬 쉬운 방법이 있다. 지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은하계로 이동하는 것은 냉장고가 비었다고 비행기를 타고 카트만두에 있는 시장을 찾아가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렇게 멀리 갈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약 40년 전에 물리학자 제리 오닐(Gerry O'Neill)과 톰 헤픈하이머( Tom Heppenheimer )가 이미 더 현실적인 해법을 제시했다. 지구나 태양을 궤도로 하는 인공 거주지를 만들면 된다는 것이 그들의 제안이다. 그러니 인터스텔라를 할 필요가 없다. 인터행성(Interplanetary)만으로도 충분하다.

인류의 문제가 감당할 수 없을 만큼 커지고 지구는 살기에 너무 좁아지면, 지구 근처에 살 수 있는 곳을 만들면 된다. 이는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지금 당장에라도 실현할 수 있을 만큼 쉽다. 미래 언젠가는 이렇게 될 수 있다. 이런 방법은 우리 행성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지구가 넘쳐 터지지 않게 배기판을 이용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영화 인터스텔라도 이런 아이디어를 완전히 무시하지는 않지만 현실적으로 그리고 가능한 차원에서 이런 부분을 다루기에는 스케일이 너무 크다. 웜홀을 통한 이동은 당장은커녕, 앞으로 가능할지조차 의문시되는 일이다. 하지만 가까운 우주에 정착지를 만다는 것은, 너무 평범하게 보일 수 있지만, 미래에 분명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재난영화, 생존영화 추천


SETI, 외계인은 분명히 존재한다


2014년 공개된 NASA의 우주선속 대화 기밀문서


달이 없었더라면?? 지구와 점점 멀어져가는 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