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3) 썸네일형 리스트형 대한항공 성과급 지출, 4·4분기 영업이익 64.7% 감소 대한항공, 성과급 지출로 4·4분기 실적 부진 최근 대한항공이 성과급 파티로 실적에 대한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4·4분기 대한항공의 영업이익은 1836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64.7% 감소했다. 매출액은 10.4% 증가했으나, 2345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여 적자로 돌아섰다. 인건비 증가와 예상치를 넘어서는 변동비 상승으로 인한 부진 증권가는 부진한 실적의 원인으로 경영성과급과 안전장려금 등 인건비가 8600억원으로 크게 증가한 것을 지적하고 있다. 특히,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화객비와 공항관련비 등의 변동비가 예상치를 크게 넘어섰다는 분석이 나왔다. 신영증권의 엄경아 연구원은 "연료비 증가율이 12.3%에 그쳤던 반면, 연료비 이외의 비용은 29.4% 증가.. 아시아나항공M&A의 미래, 화물매각 반대로 어떤 일이? 1. "강석훈 KDB산업은행 회장의 의견" 2. "화물사업부 매각의 법적 난점" 3. "대한항공의 조건부 승인 요청"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부 매각 논란 이사회의 결정이 관건 아시아나항공의 M&A(합병 및 인수)에 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화물사업부 매각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주요 이슈 중 하나입니다. 이에 관한 결정은 다양한 측면에서 현실의 가혹한 면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한편에는 산업은행과 대한항공이 이사회에 대한 압박을 가하는 모습이 있습니다.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의 화물사업부 매각을 지지해야만 추가 지원금을 지급할 것을 제안하고 있으며, 산업은행은 합병이 무산될 경우 지원을 중단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습니다. 이러한 압박은 아시아나항공 이사회에게 결정을 내리도록 밀어붙이는 모습.. 국내항공기 보잉747 기종 사고모음 1980년 11월 19일에 대한항공 015편으로 뉴욕에서 앵커리지를 거쳐 서울로 오던 보잉 747-2B5B(HL7445) 이 착륙을 위해 Final Approach 중 언덕에 메인기어가 부딪혀 비상착륙을 했으나 착륙 후 몇 시간 만에 기체가 전소되어 어퍼덱에 남아 있던 승객과 승무원이 전원 사망했다. 한편 언덕의 초소에서 근무 중이던 병사 한 명이 사고기의 메인기어에 머리를 맞고 숨지기도 했다. 1983년 9월 1일에 뉴욕을 출발해 앵커리지를 경유, 서울로 오던 대한항공 007편 보잉 747-230B(HL7442)을 소련의 전투기가 격추했다. 탑승객 269명이 모두 사망했다. 이 사건은 여전히 미스테리로 남겨져 있다. 1997년 8월 6일에 대한항공 801편 보잉 747-3B5(HL7468)이 미국령 괌..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