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식.생활의지혜' 카테고리의 글 목록 (28 Page)
지하철 불이 꺼지는 구간(사구간)이 있는이유
지하철 불이 꺼지는 구간(사구간)이 있는이유 현재 우리나라 전기철도에서 사용하는 전원은 두가지입니다. 직류 1500볼트와 교류 25000볼트입니다. 직류를 사용하는 곳은 지하철 1,2,3,4호선을 운영하는 지하철공사와 5,6,7,8호선을 운영하는 도시철도공사, 그리고 인천,대구,부산의 지하철공사가 있습니다. 교류 25000볼트를 사용하는 곳은 국가가 운영하는 철도청입니다. 지하철 1호선은 서울역-청량리간만 직류를 사용하고, 철도청 운영 구간인 의정부-회기간과 남영-수원,인천간은 교류를 사용합니다. 4호선 역시 지하철공사 구간인 당고개-남태령 간은 직류, 선바위-오이도 간은 교류를 사용합니다. 만약에 두 곳의 전류 방식이 달라서 중간에 내려 다른 열차로 갈아타야 된다면 불편이 이만 저만이 아닐겁니다. 그래..
정월대보름에 부럼을 먹는 이유, 부럼의 유래와 의미
결론부터 말하자면, 영양결핍을 해소하여 부스럼을 예방하고 치아를 단단하게 하기 위함에서 비롯된 풍속입니다. 정월대보름에 부럼을 먹는 이유, 부럼의 유래와 의미 보름날 부럼을 먹는 이유는 옛날 먹을것이 귀했던 시절 겨울동안 지방질과 단백질을 섭취하지 못하여 부스럼이 일어나는 것을 조금이나마 완화시키려는 의도도 있지만, 창고나 찬장에 묵혀두었던 호두, 잣, 밤 등이 썩지 않았을까를 알아보기 위한 선조들의 지혜였습니다. 견과류라고 하지만, 겨울 내내 묵혀두었으니 속이 썩지 않았을까를 보는 것도 되고, 이 기회에 다음 작물을 거둘때까지 껍질을 까서 작은 단지 등에 보관하여 두고 먹기 위한 방법도 되었죠. 어떻든 대보름날을 기회삼아 겨울내내 배고프고 영양결핍에 시달렸던 서민들은 호두, 잣, 밤 등을 먹을 수 있었..
계산기의 기능 알고쓰자, 계산기 MC,MR,M-,M+의 용도
전문가가 아닌이상 보통 계산기쓸때 숫자와 (+)플러스 (-)마이너스 (=)는 외에는 잘 안쓰죠 다른건 뭔지도 잘 모르고 어떻게 쓰는지도 모르겠고... 계산하다가 틀리면 '아이씨~'를 연발하며 처음부터 다시 계산해야하는 불상사가 벌어집니다. 하지만 계산기의 기능을 알고있다면 훨씬 더 쉽고 빠르게 계산을 할수있습니다 계산기의 기능 알고쓰자, 계산기 MC,MR,M-,M+의 용도 MC는 메모리 클리어 : 메모리를 지운다 MR은 메모리 리드 : 메모리값을 읽는다 M-는 메모리값에 계산 결과를 뺀다 M+는 메모리값에 계산 결과를 더한다 계산기의 MC,MR,M-,M+는 연산순서때문에 있는것입니다. 예를들어 3x2+5x4=26의 계산을 한다면 공학용 계산기의 경우는 계산식을 쓰고 한꺼번에 계산 가능하지만일반 작은 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