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식.생활의지혜' 카테고리의 글 목록 (19 Page)
사서삼경의 의미
사서(四書):대학,중용,논어, 맹자를 합해서 사서라고 합니다. 송나라 때 정자라는 분이 자은(子恩)의 예기에서 대학,중용을 분리하여, 논어,맹자와 함께 엮어 내어서 사서로 만들었습니다. 그 전에는 오경(五經)이 읽혀졌으나, 어려워서 별로 호응을 못 받았습니다. 송나라 때부더 사서를 중시하고, 원나라 때는 고시 과목으로 중시 되었으며, 명나라의 영락제에 의해서 사서대전이 만들어졌습니다. 주자는 사서대전에 주해를 달아 사서집주(史書集註)라고 하였습니다. 대학과 중용에는 장구(章句),논어와 맹자에는 집주(集註)라고 명칭을 붙였습니다. 사서를 배울 때는 먼저 대학을 읽고 학문의 규모를 정하고, 논어에서 근본을 배우고, 맹자에서 그 발전을 터득한 후, 마지막 중용에서 선인들의 높은 사상을 음미하게 됩니다. 대학(..
십이지의 유래
십이지의 형성시기는 중국 하왕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하왕조시절 고대문명의 발상지인 황하의 서쪽 지류부근에 거주했던 민족은 천문학이 매우 발달하여 그 당시 십이지로 연월일시를 기록하였다고한다. 이곳에서부터 동쪽으로는 한국과 일본, 북쪽으로는 몽골, 남쪽으로는 인도와 월남 등 동남아시아로 전해지고 다시 멀리 대양을 건너 멕시코까지 전파되었다. 은왕조에 이르러 이미 널리 사용된 십이지는 한대중기에 이르러 시간과 방위의 개념에 연결되었다. 당대에 이르면서 비로소 십이지에 동물을 적용시켜 쥐(자), 소(축), 범(인), 토끼(묘), 용(진), 뱀(사), 말(오), 양(미), 원숭이(신), 닭(유), 개(술), 돼지(해)의 순서가 확립되었다. 그럼 지구상의 수 많은 동물 중 왜 쥐.소.호랑이.토끼.용.뱀.말.원숭..
물고기의 배설
어류의 배설에 대하여 언급하려면 소화, 삼투압의 조절의 측면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1. 소화와 배설 먹이의 소화는 입, 위, 장, 항문의 차례로 이루어지며, 소화가 안 된 것은 오줌으로 배출됩니다. 입은 먹이의 크기를 제한하고 있으며, 먹이는 이빨에 의해 잘게 부서져 위장으로 보내집니다. 물고기의 이빨은 상하의 턱이나 혀 등에 있으며, 종류에 따라 모양이 다릅니다. 먹이를 통째로 삼키는 참다랭이는 이빨이 발달하지 않았고, 플랑크톤이 먹이인 정어리는 이빨 대신에 아가미의 귀새미가 빗살 모양으로 발달하여 플랑크톤을 걸러서 먹습니다. 먹이를 일시적으로 저장해 두는 위장에서는 염산이 분비되는데, pH 값이 2.5 ~ 3.6이며, 먹이를 연화(軟化)시킵니다. 위장이 없는 물고기(잉어, 붕어)에는 산성으로 작용하는..
조난 당했을때 필요한 지식
먼저 등산시 비상식으로 소금이 필요한 이유는 설탕은 칼로리를 높이는데 필요하지만, 소금은 무기질 섭취에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서로 성질이 좀 다르다고 볼 수 잆습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저 체온증에는 설탕물/소금물 모두 좋으나 따뜻하게 해서 먹일 것, 탈진, 탈수 현상에는 기본족으로 염분 부족에 의해 발생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소금물이 좋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소금물, 설탕물 보다 우선적으로 취해야 할 것들이 많습니다.(소금물, 설탕물은 먼저 이행 할 것들을 다 하고 해도 늦지 않습니다.) 관련된 사항들을 올립니다. 인체에 필요한 영양소 영양소와 열량 인체활동에 필요한 영양소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그리고 물로 6대 영양소라고 하며, 이중에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은 영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