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사회.정치.역사.인물 (1715) 썸네일형 리스트형 국내외 연쇄 살인 사건 정리 국내외 연쇄 살인 사건 정리 국내 역대 살인사건 김대두 1975년 8월 13일부터 10월 7일까지 55일 동안 전라남도 광산군, 무안군, 경기도 평택시, 서울 등지로 9차례를 걸친 모두 17명 살해한 혐의를 받았다. 1975년 10월 7일 서울에서는 피해자의 피가 묻은 청바지를 세탁소에 맡겼다가 이를 수상하게 여긴 세탁소 주인의 신고로 검거되었다. 그리고 연쇄 살인범 김대두 범인이 체포되었을 때 현장검증 살해했다고 주장하였다. 그 이후 1976년 12월에 사형을 받고, 독실한 기독교 신자가 되었지만 형장에 선 것으로 알려졌다. 유영철 2003년 9월부터 2004년 7월까지 21명을 연쇄 살인했다. 2003년 9월 11일 전주교도소를 출소한 유영철은 13일 후 서울 강남구 신사동에서 명예교수 부부를 살해했.. 국방장관 합참의장 '북한 평화공세 이후 기습도발 개연성 높아' 국방장관 합참의장 '북한 평화공세 이후 기습도발 개연성 높아' 국방장관 합참의장은 '북한 평화공세 이후 기습도발 개연성 높다'고 말했습니다 과거의 예를들면 1950년 6월 9일 남북 평화회담 제안 하지만 며칠 후 25일 6.25전쟁이 일어났고 1983년 10월 8일 남북 및 미국이 참여하는 평화회담 제의후 다음날 버마 아웅산 테러 2010년 10월 30일 이산가족 상봉 행사 실시 그리고 바로 다음달 23일 연평도 포격을 했죠 이렇게 북한은 평화공세로 위장하여 남한을 안심시켜놓고 허를 찌르는 행동을 해왔습니다. 하여 최근 잇따른 북한의 대남 유화 제스처가 한반도의 긴장을 고조 시키는것 같습니다 역사적으로 북한의 도발 패턴은 평화공세를 취한 뒤 도발한 전례가 많기 때문에 또한 그것이 북한의 전략 전술이기도 .. 삼성그룹 채용 정보와 면접 삼성그룹의 임직원의 수는 다른 대기업집단에 비해 독보적으로 많고, 그만큼 충원해야 될 인원도 많다.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삼성그룹은 다른 대기업들에 비해 채용에 있어서 비교적 열린 문화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학벌을 상대적으로 보지 않는다는 소리가 많다. 실제로 비수도권 대학 채용 비율이 가장 높기로 손에 꼽히는 곳이 바로 이 삼성그룹이다. 비수도권 현지 대학 출신은 상대적으로 현지에 (당연히) 강하고 지역에 대한 충성도가 높아서 이직률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다른 데서 비수도권을 너무 안 뽑아서 그런 경향이 있다. 서류통과는 자격조건에 미달되는 결격사유가 없고 작성만 제대로 됐다면 거의 100%였으나 SSAT가 GSAT으로 바뀌면서 서류에서도 상당 수를 탈락시키고 있다. 시험비용 절감 및 허.. 이전 1 ··· 212 213 214 2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