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팍타크로 경기 방법
본문 바로가기

세팍타크로 경기 방법


2016. 12. 13.



우리나라에서 세팍타크로가 처음 소개된 것은 1987년 8월 28일 서울 체육고등학교 강당에서 주 말레이지아 대사관의 적극적인 후원하에 한국에서 유학하고 있는 말레이지아 학생들과 서울체육중학교 축구 선수들과 고등학교 체조.태권도 선수 가운데 다수의 선수를 선발하여 시범경기를 가졌고, 같은 해 12월 7일 한국사회체육센타에서 서울시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강습회를 통하여 소개하였다.
1988년 10월 31일 대한체육회 준가맹단체로 승인을 얻었고 그해 말레이지아에서 개최된 세계 세팍타크로 선수권대회에 최초로 출전하였다.
1989년 2월 9일 아시아세팍타크로연맹(ASTAF) 정식적으로 가입하게 되었다. 그 후 북경 아시안게임과 1994년 제 12회 히로시마 아시안게임에도 참가하였으며 현재 고등학교부, 대학부팀이 창단되었다.




선수
경기는 한편에 3명의 선수들로 구성되는 두 개의 "레구" 사이에서 행해진다.
"팀"은 한편에 9명의 선수들로 된 세계의 레구들과 3명의 후보로 구성된다.
세 명의 선수 중 한명은 왼쪽, 한 명은 뒤에 있어야 하며 그를 "후위"라 부른다.
다른 두 명의 선수 "왼쪽 전위", 오른쪽의 선수는 "오른쪽 앞쪽에 위치한다. 왼쪽의 선수는 "왼쪽 전위", 오른쪽의 선수는 "오른쪽 전위" 라 부른다.
Regu Event : 6명, Team Event : 12명 

선수복장


선수들은 바지/티셔츠,짧은 바지를 입고 고무바닥으로 된 운동화를 신어야 한다. 게임 중에 선수가 상대편을 위험하게 하는 것을 입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
선수들의 전체 복장은 신체의 한 부분으로 간주된다. 모든 저시/티셔츠는 감싸져야 한다.
볼의 속도를 가속화시키는 것이나 선수의 움직임을 돕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레규의 주장은 왼쪽 팔에 팔 밴드를 착용한다.
모든 바지/티셔츠는 등에 숫자를 표시해야 한다. 숫자의 크기는 높이가 19cm보다 작아서는 안되며 표기 숫자는 1번부터 15번까지이다.

선수 교체
선수의 교체는 경기가 진행 중이 아닐 때 팀매니저가 심판위원에게 요구할시 언제든지 교체가 허용된다.
각 "레구"는 단지 한 번의 교체가 허용된다.
만약 교체를 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해서, 경기 중에 심판에 의해 퇴장 당한 선수에 대해서는 교체가 허용되어진다.
교체자롯나 스타팅멤버로서 레구에서 경기를 하는 선수가 현재 게임에서 팀을 위해서 다른 레구에 참가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세 명보다 적은 선수를 가진 레구는 게임을 계속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으며 패배로 간주한다. 

임원


1명 심판위원장
2명의 심판(주심,부심)
6명의 선심(사이드라인 4명, 베이스라인 2명)
토스와 준비운동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심판은 토스코인/디스크를 던져서 승리 편이 "첫 서비스"나 "사이드의 선택"의 권리를 가진다. "첫 서비스"편이 2분간의 준비운동을 한 후 상대편 레구가 2분간의 준비운동을 한다.
한 팀에 5명의 인원만이 공식 코트에서 공식 공으로 연습할 수 있다.

서비스 중 선수위치
경기 시작에서 양쪽 "레구"의 선수들은 반드시 각자의 코트에서 준비자세를 취해야만 한다.
"후위선수의 서브는 서브 원 안에 발 중 하나가 있어야 하고 다른 발은 서브 볼을 차기 위해서 반드시 원 밖에 있어야 한다.
서브 편의 "인사이드"선수 둘 다 1/4원 안의 각자 위치에 있어야 한다.
상대편은 코트 내의 어느 곳에 있어도 된다. 

경기 시작과 서비스
경기 시작을 선택한 편이 첫 세트를 시작한다. 첫 세트의 승자는 두 번째 세트를 시작한다.
던지는 것은 심판이 점수를 부르자마자 실행되어져야만 한다. 만약 어떤 전위가 심판이 점수를 부르기 전에 볼을 던진다면 그것은 다시 행해지며 던진 자에게는 경고가 주어진다.
전위가 "후위" 선수에게 볼을 던지자마자 볼을 친다. 서비스를 하는 동안, 서브한 볼을 차자마자 모든 선수들은 각자의 코트에서 움직이는 것이 허용된다.
서비스한 공이 네트에 닿거나 닿지 않거나 네트를 넘어가 경기장 내로 들어가면 경기는 유효하게 진행된다.
"후위"선수에 의한 서비스 실행은 어떤 방법으로든 한 발이 서비스원 안에만 있다면 찰 수 있다. 

벌점(폴트)


서비스 동안 공격편
어떤 선수라도 1/4 원라인, 중앙선, 사이드라인 혹은 서비스원라인을 밟는 것.
서비스투구를 하는 "전위" 선수가 심판의 득점콜이 끝난 후에 볼을 다루는 것(볼을 위로 던지고, 떨어뜨리고, 다른 전위에게 주는 행위 등).
볼이 날아가는 동안 전위는 발을 들거나 선수를 밟거나 넘어가거나 혹은 네트네 닿는 것. 그리고 서비스 볼을 차는 동안에 "후위" 선수가 같은 행위를 하는 것
"후위"선수가 서비스를 던져서 볼을 찰 수는 없다.
볼이 상대편 코트로 넘어가기 전에 자기 선수들에게 볼이 닿았을 때.
볼이 네트를 넘어가서 코트 밖에 떨어졌을 때.
볼이 상대편으로 넘어가지 않았을 때.
네트 밑으로 공을 차거나 들어갔을 때.
서비스 동안 수비편
방해하는 행위소리 혹은 상대편에게 큰 소리를 지르는 것.
경기동안에 양편
중앙선을 밟는 것
선수가 상대편의 볼에 닿는 것.
네트 밑이나 위, 상대편으로 선수의 신체가 넘어가는 것.
연속으로 3번을 초과하여 볼을 경기할 때.
볼이 손에 닿았을 때(손은 어깨끝에서 손가락까지).
볼이 신체에서 구를 때.
다리 혹은 신체 사이의 팔 이하에서 공을 잡거나 멈추는 것.
신체부분 혹은 선수들의 용품 즉 신발, 머리띠 등에 네트나 기둥 혹은 심판의자 혹은 상대편으로 떨어지는 것.
볼이 천장, 지붕 혹은 벽(어떤 대상)에 닿았을 때.
볼이 경계테이프 안으로 넘어가지 않았을 때.
볼이 네트에 닿고 상대편으로 넘어가지 않았을 때.
선수가 불필요하게 경기를 지연시키는 것. 

서비스 변경
서비스 변경은 서비스편에 의해 벌점이 주어졌을 때 혹은 수비편이 볼을 되받지 못했을 때 주어진다.

작전타임
각 팀의 코치와 감독의 요청에 의하여 각 팀당 매 세트 및 타이브레익에 1회 1분간의 작전타임이 주어지며 베이스라인 바깥에서 5명만 작전타임에 참가할 수 있다.

포인트 득점
포인트 득점에 따라 상대편이 벌점을 받았을 때, 서비스하는 레규에게 포인트가 주어진다.

득점
세트의 승리포인트는 최대 15점이다.
1,2 세트 후에 2분간 쉰다.
세트 스코어 1:1일 경우 타이브레익 6점으로 승자를 결정한다.
타이브레익 경기를 갖기 전에 주심은 토스코인/디스크로 서비스권과 코트를 선택한다.
타이브레익 세트 동안 한편의 점수가 3점이 되면 코트를 바꾸어야 한다. 

경기의 임시정지
심판은 방해물이나 즉각적인 치료를 요하거나 5분 이상 걸리는 사고를 당한 선수들로 인해 경기를 임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정지과정에서 모든 선수들은 코트를 떠나는 것, 음료수를 받는 것, 어떤 종류의 도움을 받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규율
모든 선수들은 경기룰을 지켜야 한다.
"레구"의 주장만이 경기 동안에 심판에게 접근이 허용된다. 

벌칙
결정과 선수 혹은 관중에 관계해서, 임원을 향해 말이나 행위로 이의를 표시하는 것.
파울로 혹은 욕설을 임원, 선수 혹은 관중에게 사용하는 것.
임원에 의해 행해진 결정에 영향을 주기 위해 부적절한 절차나 조치를 취하는 것.
심판의 허가없이 코트를 떠나는 것(2,3세트 사이를 제외하고)
발로 볼을 상대편에게 주는 것.
점잖치 못한 행위를 하는 것.
명령과 경기룰을 위반하는 것.
규칙 14를 위반한 선수들은 심판에 의해 벌칙을 받을 것이다.
심판은 다음의 카드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황색 카드-주의
적색 카드-퇴장
적색카드는 다음의 "의도적인" 공격을 했을 때에 주어진다.
주의를 받은 후 계속적인 위반
공격적 행위(던지고, 발로 차고 등)
파울 혹은 욕설의 사용

주의 : 적색카드를 받은 선수는 위원회로 보내져서 징계조치가 취해진다. 관계된 선수는 징계가 풀릴 때까지 경기에 출전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