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L 용병 신장 제한 논란
본문 바로가기

연예.스포츠.TV

KBL 용병 신장 제한 논란

2018-19 시즌 부터 변경 예정인 한국프로농구 외국인 선수 제도에 관한 논란이 일었다.

현 KBL 총재인 김영기 총재는 2015-16시즌에 전격적으로 단신 외국인선수를 도입하면서 다시 2명 출전으로 변경한다. 그로인해 등장했던 선수들이 조 잭슨과 안드레 에밋이었는데 이 두명은 화려한 농구를 선보이면서 각각 소속팀을 챔피언결정전 우승, 정규시즌 우승으로 이끄는데 주역이 된다. 



단신 외국인선수를 도입하면서 이전보다는 화제거리가 많이 생긴건 사실이고 그러한 점들로 인해 KBL에서도 적극 활용하기로 한다. 그로인해 2016-17 시즌 부터는 아예 2,3쿼터에는 장단신 용병 두명 모두 출전 가능하도록 규정을 바꿨다.

하지만 2016-17시즌에 몇몇 구단들이 소위 말하는 언더사이즈 빅맨들을 영입하면서 포지션 4번자리에 배치해서 활용하면서 단신 가드랑 언더사이즈 빅맨들이 서로 공존하게 된다. 

좀 더 많은 단신 가드들이 나오기를 바랬던 KBL 에서는 2018-19 시즌 부터는 이러한 언더사이즈 빅맨들 대신 단신 가드들로 구성하게 하고자 규정을 바꿔 버린다. 동시에 신장이 작은 선수들로 많이 구성되면 코트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득점도 많아진다는 이유로 장신 선수들 규정을 바꿔버리면서 신장이 2m를 넘어버리면 KBL에서 뛸수 없게 만들어 버렸다.

르브론 제임스가 오고 싶어도 올 수 없는 리그.
KBL 원년부터 반복해오던 고민

KBL이 2018-19시즌부터 외국인선수 선발 제도를 현행 트라이아웃 제도에서 자유계약 제도로 다시 바꿨다. 제한 조건은 샐러리캡 2명 합 70만달러, 장신 200cm 미만, 단신은 186cm 미만으로 설정했다. 하지만 현실성 없는 조건이라는 점에서 많이 비판받고 있다. 샐러리캡 규모를 작게 설정한것은 아무래도 재정이 다른구단들보다 비교적 넉넉치 못한 구단을 배려하는 차원에서 설정한것이라고 해도 신장 제한은 전혀 현실성 없다는 지적이다. 특히 2017-18시즌이 진행될수록 실력이 좋은 190cm대 단신 언더사이즈 빅맨들이 나오고 있고, 200cm가 넘어가는 빅맨들 중에서도 실력이 좋은 빅맨들도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규정으로 인해 그 빅맨들을 보기 힘들어 진다는 지적들이 많다. 그래서 결국 신장이 200cm가 넘거나 단신에서 장신으로 분류될 190cm 내외의 몇몇 용병들은 신장 제한으로 인해 한국 무대를 떠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시가 데이비드 사이먼.


게다가 이러한 제도에도 불구하고 키를 줄이면 그만이라는 선수도 나오고 있다. 당장 네이트 밀러는 2.2cm를, 저스틴 에드워즈는 0.4cm를 줄여 단신 자격을 획득했고 찰스 로드는 0.9cm를 줄여 기준을 통과했으며 200.6cm의 제임스 메이스 역시 재측정을 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규정이 단신 용병을 도입하기 시작하면서 KBL인기가 되살아나고 있다는 KBL 윗선들의 착각일거라는 주장들이 있다. 화려한 플레이들이 많이 나오고 덩크슛도 많이 나오면서 눈이 즐거워진건 사실이나 그렇다고 KBL 인기가 되살아나고 있다? 조 잭슨같은 단신 용병들이 들어온 2015-16시즌을 기점으로 해서 시즌 총 관중수는 100만명선이 무너져 버렸다. 2016-17 시즌은 총 관중수가 90만명대로 떨어지면서 최초로 100만 관중을 돌파했었던 2001-02 시즌 이후 14시즌만에 100만 관중선이 무너져 버린 상태이다. 더군다나 배구에게도 이미 인기 격차가 벌어지면서 중계 시청률도 배구랑 비교해서 훨씬 차이가 많이 벌어진 상태이다.

KBL에서는 뒤늦게 이러한 논란에 대해서 KBL "외국인 신장 제한은 국내선수 보호 위한 것" 이라는 공식 입장을 내놓았다. 그러나 오히려 이런 해명이 더 불을 지핀 꼴이 되고 말았다. 국내선수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라고 한다면 아예 외국인선수 제도를 폐지하던가 또는 다시 외국인 선수 1인제를 도입하면 될 일을 이렇게까지 줄여가면서 보호할일이 있느냐는 반응.

당연히 대다수의 농구팬들은 이러한 조치에 대해서 일제히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상태이다. 평소 네이버 농구 기사는 댓글이 별로 달리지 않는데도 규정 관련해서 비판 기사가 나오면 댓글이 1000개도 넘어갈 정도로 엄청난 논란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언론에서도 일제히 비판 기사를 내보내면서 KBL의 이러한 규정에 대해서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러나 유일하게 신장제한에 찬성표를 던진 전주 KCC에 대해서는 기사가 없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