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 그녀" 인공지능 운영체제와 사랑, 2014 아카데미 수상작 리뷰
본문 바로가기

영화.도서.문화.공연

"Her 그녀" 인공지능 운영체제와 사랑, 2014 아카데미 수상작 리뷰

"2014 아카데미 수상작 '그녀'의 줄거리와 리뷰"


"사랑의 디지털 혁명, 영화 '그녀'에서 본 AI 운영체제와의 로맨스"
"사랑, 기술, 그리고 인간 감정 '그녀'의 가슴 뭉클한 이야기"


영화 '그녀'의 독특한 스토리와 로맨스를 통해 컴퓨터 운영체제와의 사랑을 그린 작품에 대한 리뷰를 제공합니다.

영화 '그녀'는 2014 아카데미에서 각본상과 2014 골든 글로브에서 각본상을 수상한 독특한 작품으로, 공상과학영화와 로맨스의 요소를 결합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영화-Her


이 영화의 줄거리는 주인공 테오도르가 새로운 운영체제(OS)를 설치하면서 시작됩니다. 이 OS는 일반적인 컴퓨터 운영체제와는 다르게 인공지능(AI)이 감성과 빠른 처리 속도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남녀 설정이 가능합니다. 더불어 음성으로 소통이 가능하며 스마트폰, 컴퓨터, 노트북 등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테오도르는 이 OS와의 관계가 깊어지면서 편지 대필 일 외에도 출판 등 큰 일을 해내며 그 사랑에 빠져들게 됩니다. 그러나 이 OS는 육체적인 형태가 없어 사랑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도 허무하게 끝나고, 자신의 존재를 자체적으로 인정하는 단계까지 발전합니다.

이러한 이야기가 주인공 뿐만 아니라 그의 친구도 사랑에 빠뜨리게 합니다. 그리고 주인공의 아내와의 별거와 이혼으로 인해 주인공은 사랑에 빠진다는 이야기에 대해 미친 놈으로 취급받게 되며, 친구들에게도 이 OS를 여친으로 소개합니다.

 


영화는 사랑의 배경과 색감, 음악을 통해 사랑이 빛나는 순간들을 아름답게 그려냅니다. 그러나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어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영화에서는 OS들이 세계의 석학 지성에 새로운 OS를 만들고 성숙한 발전을 거듭하며 인간의 지성을 뛰어넘어가는 장면도 나타납니다. 또한, OS에 접속되지 않을 때 길거리의 사람들이 당황하는 장면은 OS들이 동시에 많은 사람들에게 감정을 전달한다는 독특한 상황을 보여줍니다.

 


마지막으로 모든 운영체제들이 사라지는 황당한 상황으로 영화는 마무리됩니다. 이런 결말은 우리의 디지털 시대와도 연관이 있어 보입니다. 우리는 SNS나 메시지 앱을 통해 사랑하고 소통하는데, 이러한 관계가 실제 만남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별도 허무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녀'는 컴퓨터와의 사랑을 다루지만, 우리의 디지털 시대에서도 비슷한 감정을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공감을 자아냅니다. 사랑은 어떤 형태이든 감정이 공유되고 소중한 순간들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그녀'는 이러한 사랑의 형태를 미국과 미래의 디지털 세계를 배경으로 다루어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