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파민 (4) 썸네일형 리스트형 술 적당히 마시자, 술이 뇌에 미치는 영향 만물의 영장이라고 할 수 있는 인간은 학습 및 기억, 또 특수한 사고능력을 갖추었다. 모든 동물들이 다 두뇌를 가졌는데, 어째서 오직 인간만이 탁월한 두뇌의 기능을 가져 찬란한 문화적 행동을 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에 대해 현대과학에서도 많은 연구가 되고 있다. 알코올을 조금 마시면 처음에는 중추 및 말초신경이 흥분되고 위산 분비가 촉진된다. 또 도파민(dopamine)이라는 신경 전달물질이 분비되어 기분이 좋아지게 된다. 그러나 술을 과음하거나 장기간 남용 또는 과용하면 술이 불행하게도 뇌세포 파괴를 촉진시켜 우리 뇌의 기능을 억제시킨다. 그렇지 않아도 정상적으로 매일 십만 개씩 뇌세포가 자동 사멸하는데, 알코올을 다량으로 마시면 더 많은 뇌세포가 죽는다. 학업이나 기억 또는 사고능력 모두 저하되는데,.. 파킨슨 병이란? 파킨슨병 증상 파킨슨 병(Parkinson's disease)은 1817년 제임슨 파킨슨(James Parkinson)이라는 의사가 처음으로 기술하였다. 20세기에는 일반 대중에게 "떨리는 마비(shaking palsy)"라는 이름으로, 또 의료인들에게는 라틴어인 paralysis agitans(허둥대는 마비)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하지만 이런 병명들은 파킨슨 병이 마비 증세를 일으킨다는 잘못된 생각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므로 현재는 처음 이 증상을 기술한 의사를 기념하기 위해 그냥 파킨슨 병(Parkinson's disease)이라고 부른다. 파킨슨 병이란? 파킨슨병 증상 파킨슨 병은 뇌 깊숙이 위치한 흑색질(substantia nigra)이라는 부위의 신경세포가 줄어드는 중추신경계 질환이다. 흑색질에 .. 사랑의 유통기한은 2년 나비가 꽃을 찾는 눈부시게 아름다운 계절 봄이 찾아오면 짝이 없는 외로운 청춘 남녀들은 또 다시 사랑을 꿈꾸게 된다. 최근 들어 독신주의자들이 늘고 있지만 결혼과 관계없이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사랑은 포기할 수 없는 삶의 명제다. 이런 `사랑'의 현상은 과학적으로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사랑의 유통기한은 2년 과학자들은 사랑을 두뇌의 `화학적 작용'으로 보고 있다. 사랑의 감정을 조절하는 기관은 뇌의 시상, 시상하부, 해마, 뇌하수체로 이뤄진 변연계로 알려져 있다. 일종의 정서적 뇌인 셈. 여기서 사랑의 각 단계마다 도파민, 페닐에틸아민과 옥시토신, 엔도르핀 등의 신경조절 및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이 분비된다는 것이다. 이런 물질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따라 우리의 감정은 상대에 대해 열정적으로, 안정적으로.. 흡연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예로부터 담배는 백해무익 (百害無益) 하다 하였습니다. 과연 담배는 좋은점이 단 한가지도 없을까요?? 네 없습니다. 정말 단 한가지도 없습니다. '스트레스를 풀어준다는 장점이 있잖아' 라고 말씀하시는분들 천만에 말씀입니다. 담배가 스트레스를 더 받게 만드는 겁니다. 담배를 피우게 되면 니코틴 때문에 뇌에서 '도파민' 이라는 호르몬이 나옵니다. 이 '도파민'은 사람의 기분을 좋게 만들어 주는데 문제는 니코틴이 모자라게되면 신경이 날카로워지고 스트레스를 받기 시작하는겁니다. 그러다가 담배를 피우면 갑자기 또 기분이 좋아져서 스트레스가 해소 되는것처럼 착각을 하게 되는겁니다. 이렇게 백해무익한 흡연 어떤점이 안좋을까요?? 흡연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1. 흡연으로 발생되는 질병 담배를 피우는 흡연자는 비흡연자보..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