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연, 리튬이온 저장하는 음극재 핵심 광물: 중국 점유율 90%…내재화 나선 배터리 업계
본문 바로가기

재테크.금융.경제

흑연, 리튬이온 저장하는 음극재 핵심 광물: 중국 점유율 90%…내재화 나선 배터리 업계

포스코퓨처엠의 인조흑연 공장

 

최근, 배터리 업계에서는 중국의 흑연 수출 통제에 대한 화제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중국은 이달 초부터 흑연 수출을 통제할 것이라고 발표하며 관심을 모으고 있는데, 아직 승인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향후 언제든지 수출 금지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에 따라 중국의 흑연 수출이 중단되면 국내 배터리 업체들에게는 큰 타격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흑연은 어떤 역할을 하며, 배터리 업계에서 왜 중요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흑연의 역할: 음극재 핵심 광물로서의 중요성

1.1 흑연의 기본 구조와 배터리에서의 활용

흑연은 연필심이나 샤프심과 같은 일상물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주로 탄소 여섯개가 육각형을 이룬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구조는 벌집처럼 층층이 쌓여있어, 리튬이온과 같은 물질을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이상적인 형태입니다.

1.2 배터리에서의 활용과 음극재의 역할

리튬이온배터리에서는 음극재가 리튬이온을 저장하고 재방출하는 과정에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킵니다. 흑연은 이러한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리튬이온을 저장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음극재 핵심 광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흑연의 육각형 구조가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충전 속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2. 흑연의 종류: 천연흑연 vs. 인조흑연

2.1 천연흑연

천연흑연은 광산에서 직접 채굴되어 생산되며, 선광이라 불리는 과정을 거쳐 높은 순도의 흑연 광석을 얻은 후 가공하여 구형 흑연으로 만듭니다. 이러한 과정은 대부분 중국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2 인조흑연

인조흑연은 석유화학 공정 부산물로 만들어지는데, 침상코크스라는 화학물질에서 얻어진다. 이 과정에서 침상코크스를 분쇄하고 고온으로 열처리하여 흑연의 결정구조를 형성합니다.

2.3 천연흑연 vs. 인조흑연 비교

천연흑연은 리튬이온 저장 용량이 크고 가격이 저렴하지만, 불규칙한 구조로 인해 안정성이 떨어집니다. 반면, 인조흑연은 천연 흑연에 비해 불규칙한 구조를 가지지 않아 안정성이 높지만, 생산 비용이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3. 국내 배터리 업계의 현황과 과제

3.1 중국 의존도와 과제

현재, 전 세계 흑연 정련량의 91%를 중국이 담당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중국산 천연흑연과 인조흑연을 대부분 수입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중국의 흑연 수출이 중단되면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3.2 국내 기업의 대응과 내재화 노력

국내 업체들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포스코퓨처엠은 천연흑연계와 인조흑연계 음극재를 모두 생산하는 유일한 기업으로, 내재화를 위해 투자하고 있습니다. 포스코퓨처엠은 향후 음극재 생산 능력을 확대할 계획이며, 국내 기업들이 흑연 내재화에 성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4. 결론: '탈(脫)중국'의 길을 모색하는 국내 배터리 산업

현재 중국의 흑연 수출 통제로 인해 국내 배터리 산업이 큰 변화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들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흑연 내재화에 성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정부 역시 이를 지원하기 위한 계획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국내 배터리 산업이 '탈(脫)중국'에 성공할 수 있을지, 이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