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민동의 청원으로 시작된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발의 요구가 동의자 100만 명을 넘어서면서 정치권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국민의힘은 이에 대해 즉각적인 대응에 나섰다.
3일 오전 기준, 국회 홈페이지에 게시된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발의 요구 국민동의 청원의 동의자 수가 100만 명을 넘어섰다. 이 청원은 지난달 24일 처음 게시된 이후 10일 만에 하루 평균 10만 명 이상이 동의하며 빠르게 확산됐다. 민주당은 "대통령의 요지부동한 태도에 대한 국민적 분노가 청원 동참으로 이어졌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청원 동의자 수의 급증에 대해 큰 위기감을 느끼며 적극적인 방어에 나섰다. 곽규택 수석대변인은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문재인 정권에서도 140만 명이 넘는 국민이 문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청원한 바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탄핵 청원은 국민의 자유이지만, 현 상황에서 탄핵 사유가 명백히 부족하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최근 이재명 전 대표와 관련된 검사 4인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발의하며 탄핵 정국을 주도하고 있다. 추경호 원내대표는 "민주당은 탄핵을 남용하는 정당이며, 이 대표를 구하기 위해 국회를 마비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22대 국회 시작부터 민주당은 탄핵소추안을 13번이나 발의했다"고 지적했다.
국민의힘 내 주요 인사들도 탄핵 정국에 대해 강력한 반대 입장을 밝혔다. 당 대표 후보인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이재명 대표를 방탄하기 위한 탄핵소추안 발의는 무고한 권력 남용"이라고 비판했다. 나경원 의원 역시 "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청문회를 열겠다고 하면서도 실질적인 명분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비윤계 인사인 유승민 전 의원도 "민주당의 탄핵 남발은 탄핵제도를 희화화하고 있다"며 "탄핵피로증을 유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장 오세훈은 "탄핵의 일상화는 시민과 국민에게 큰 피해를 준다"며 "무차별 탄핵을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청원 100만 명 돌파는 정치권에 큰 충격을 주었다. 국민의힘은 이를 방어하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지만, 민주당의 탄핵소추안 발의와 이에 대한 반발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탄핵 정국이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