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 대학가요제의 흑역사 JJMP vs 뮤즈그레인
본문 바로가기

2006 대학가요제의 흑역사 JJMP vs 뮤즈그레인


2017. 10. 8.

2006 대학가요제에 출전한 클래식 재즈그룹. 
멤버는 변동준(피아노), 김순오(콘트라 베이스), 이혜영(바이올린), 정웅(드럼), 진병섭(마라카스), 김승재(보컬)



멤버 모두 선생님을 꿈꾸는 교육대학교 학생이며(전주 교육대 음악교육과 5명, 사회교육과 1명), 가수가 아닌 선생님을 지망하고 있었다. 대학 가요제 참가 취지도

"졸업하면 모두들 쉽게 모이지도 못할 것 같은데, 대학가요제를 마지막으로 추억을 남기고 해산하자."

였다. 아무도 생각하지 못한 본선 진출 티켓을 확정지으며 멤버 모두 동아리방에서 계속 울었다고 한다. 그리고 본선 당일, 대학가요제 마지막 무대로 시간 배정을 받으며 무대에 오른다. 


앞의 팀들이 그저 그런 가요 따라하기밖에 안되는 가운데 뮤즈그레인만이 유일하게 재즈로 노래를 불렀는데 문제는 다른 참가자의 그것을 훨씬 넘어선 넘사벽급의 가창력을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전반적인 퀄리티와 독창성에 있어서 타 팀에 비해 가산점 요소가 아주 많았다.

이 가창력과 재즈가 어울러진 음악에 시청자, 관객 모두들 당연하게도 뮤즈그레인의 대상이 떼어 놓은 당상임을 예상했고, 인터넷 게시판도 사람 좀 많다 하는 커뮤니티는 서버가 폭파될 정도로 관심집중이 되었다.(그 이전에 MBC 대학가요제 홈페이지는 접속이 불가였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뮤즈그레인은 그 어떤 상도 수상하지 못했다. 이후 뮤즈그레인은 무관의 제왕이라 불리게 되었고, 멤버들은 2006 MBC 대학가요제 음반에 수록된 것을 끝으로 마무리지어야했다. 정작 대상을 받은 JJMP는 대학생이 아닌것부터 시작해서 원래 프로였다는 것까지 많은 의혹을 제기받고 버로우 탔다. 실제로도 대학생이 아니었고(1학년 자퇴), 여러 가수들의 피처링까지 해준 프로였다.

뮤즈그레인을 인터뷰했던 한 기사에는 본선에서 노래를 부른 후 집으로 가는 기차안에서 멤버 모두 계속 울었다고 한다. 서명운동으로 뮤즈그레인을 구제하자며 후폭풍이 있었으나 결국 실질적으로 이루어진 보상은 없다.

대학가요제에 출전한 본선진출자들이 늘 그렇듯이 그대로 잊혀질뻔하였다.

하지만, 2009년 9월 디지털 앨범 웃는다로 돌아왔다.
2006년의 그 음색은 그대로 살리면서 완벽한 재즈로써 앨범을 내었는데 뮤직비디오나 음악이나 빠지는게 하나 없이 훌륭했다. 문제는 소리 소문 없이 내서 앨범을 내었는지 안내었는지 모르는 사람이 많다는 정도.

뮤직비디오는 샌드애니메이션(모래로만 이루어지는 영상)으로 제작되었으며, 관심있는 사람은 꼭 감상을 해보자.

뮤즈그레인 멤버는 이미 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하고 있다. 그는 “그룹 동물원처럼 교사라는 직업을 가지고 언제건 멤버들 개개인이 좋아하는 음악으로 함께 모여 오래 오래 활동할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라고 말했다.

2012년 보컬 김승재는 군 복무중 슈퍼스타K4에 출전. 예선을 가볍게 통과 후 슈퍼위크에 진출했으나 조별 미션에서 탈락하였다. 

2015년 12월 29일, 미니앨범 'Take care'를 발매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