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이란?, 채권의 발행, 채권의 만기, 채권투자의 위험성
본문 바로가기

채권 이란?, 채권의 발행, 채권의 만기, 채권투자의 위험성


2014. 4. 10.

채권이란 발행자가 투자자에게 일정한 특정기간에 원금과 이자를 지급할 것을 약속하는 일종의 차용증서로서 발행자 즉 발행주체별, 기간별, 원금과 이자를 주는 방법에 따라서 다시 분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위험과 수익률 또한 차이가 난다.


채권의 발행주체

(1) 국채(Government Bond)

국채는 헌법 제 93조와 예산회계법 제 4조에 의거하여 국회의 의결을 얻은 후에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으로서 정부가 원리금을 지급한다. 우리나라의 국채에는 양곡기금증권, 국민주택채권, 재정증권, 외평채, 국채관리기금채권 등이 있다.



(2) 지방채(Municipal Bond)

지방채는 중앙정부가 아닌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지방자치단에의 재원확보 목적으로 발행한다. 현재 각 시도에서 발행하고 있는 상수도공채, 도로공채, 지역개발채권과 서울시에서 발행하는 서울시 상하수도공채 등이 있다.



(3) 특수채(Specific Laws Bond)

특수채는 한국전력, 토지개발공사, 한국기술개발등과 같이 특별한 법률에 의해 설립된 기관이 특별법에 의하여 발행하는 채권이다



(4) 금융채(Finanical Bond)

특수금융기관이 발행하는 채권으로서 통화안정증권, 산업금융채권, 장기신용채권, 중소기업금융채권, 주택채권 등이 있다.



(5) 회사채(Corporate Bond)

회사채란 상법상 주식회사가 일반대중으로부터 자금을 집단적, 대중적으로 조달하고 회사가 채무자임을 표시해 발행하는 유가증권이다.




채권의 만기 


(1) 단기채(Short-term Bond)

우리나라에서는 통상 상환기간이 1년 이하의 채권을 말한다. 통화안정증권, 재정증권, 금융채(1년 만기)등이 이에 속한다.



(2) 중기채(Mid-term Bond)

중기채는 상환기간이 1년 초과 5년 이하의 채권을 말하는데 회사채, 국민주택채권1종, 금융채(2,3,5년)등이 있다.



(3) 장기채(Long-term Bond) 상환기간이 5년이상인 채권으로 국민주택채권2종, 서울도시철도채권, 지역개발채권 등이 있다. 미국의 경우 1년이하 국채 Treasury Bill을 단기채, 2 ∼ 10년 만기 국채 Treasury Bill을 중기채, 10년 이상 국채 Treasury Bond를 장기채로 분류한다.




이자의 지급방법 


(1) 이표채(Coupon Bond)

이표채는 채권의 권면에 이표가 붙어 있어 이자지급일에 이표를 떼어 이자지급을 받을 수 있는 채권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회사채 대부분이 이표채로 발행되고 있으며, 이는 3개월마다 이자를 지급하고 있다.



(2) 할인채(Discount Bond)

액면금액에서 상환일까지의 이자를 미리 공제한 금액으로 매출하는 채권을 말한다.대표적인 채권으로는 통화안정증권, 금융채 중 일부가 이에 속한다.



(3) 복리채(Compound Bond)

복리채는 이자지급기간동안 이자가 복리로 재투자되어 만기상환시에 원금과 이자를 동시에 지급하는 채권을 말한다. 대표적인 채권으로는 국민주택채권 1.2종, 지역개발채권, 금융채중 일부가 있다.




채권투자에 따른 위험

채권에 대한 투자는 비교적 안전하고 환금성 및 수익성이 좋다고들 인지하고 있지만 채권투자자들에게는 채권발행기업이 파산하거나, 물가상승 혹은 시장이자율 변동 등이 발행할 경우 투자자는 예기치 않은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