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원인에 따른 소화기 사용방법
본문 바로가기

화재 원인에 따른 소화기 사용방법


2016. 6. 13.

불이 났어도 아무 소화기나 쓰면 안된다는 말 들어보셨나요?

 

아시는 분도 있겠지만 모르시는 분들이 너무 많아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우선 불을 끄려면 불의 종류를 알아야 합니다.

 

해양에서는 A,B,C 급으로 급을 세등분 하여 나누며 이때에 사용되는 소화기가 정해집니다.


A: 기름이 아닌 일반 화재

B: 기름 화재

C: 전기 화재

 

A와 B, C 모두 사용되는 소화기는 틀리지만 급할경우 분말 소화기로 모두 소화는 됩니다만 재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오히려 더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점..

 

소화기 알고 쓰면 더 효율성이 있습니다.

 

소화기의 종류에 대해서 잠깐 설명을 드리면..

 

소화기의 종류

 

1. 가장 원시적인 소화기로는 물소화기, 모래 등이 있습니다.

 

2. 포 소화기 :화학포 소화기와 기계포 소화기기가 있으며 거품이 연소면을 덮어 질식 및 냉각에 의해소화합니다.

 

3. 분말소화기: 주로 인산암모늄 분말을 소화약제로 사용하며 가스가압식과 축압식이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소화기입니다. 실수로 이 소화기 터트려서 여러사람 골아프게 하신 분도 있을겁니다.

 장점 : 소화능력이 가장 양호하다.

 단점 : 소화 후 분말 소화약제로 인해 2차 손실이 있다.(잔재물)

 

4. 이산화탄소 소화기; 축압식의 일종으로 액화탄산가스(co2)를 사용합니다.

 1) 장점 : a)소화후 약제 잔재물이 자연 기화하므로 깨끗이 사용할 수 있다.

               b)고압용기를 사용하므로 견고하다.

 

2) 단점 : a)분말, 하론소화기 보다 용량에 비해 소화능력이 약간 떨어진다.

              b)고압용기를 사용하므로 제품이 무겁다.

 

5. 할로겐화합물 소화기 : 할론 등 할로겐화합물을 소화약제로 사용합니다.

 - 소화후 약제 잔재물이 자연 기화하므로 깨끗이 사용할 수 있다.

 

이정도의 대표적인 소화기를 5가지 설명하였으면 이제 무슨말을 하려는지 잘 아실겁니다.

 

혹시나.. 배전반 등의 전기 누전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였을때..

여러분은 어느 소화기를 사용해야겠습니까?

 

당연히 CO2 소화기를 사용해야죠.. 실수로 전기가 통할 수 있는 물소화기나 분말 소화기를 사용한다면 그것은 사고를 더 크게 만들죠..

 

그렇다면.. 후라이펜에서 요리를 하다가 불이 붙었다면?

 - 이때는 물 소화기만 아니면 다 가능합니다만 깨끗함을 원한다면 CO2나 할로겐 소화기를 추천합니다만.. 대부분 집에는 분말소화기가 비치되어 있을 겁니다.

 가격대비 소화능력이 좋기 때문이죠..

 

그럼 소화는 어떻게 되길래 이렇게 종류가 많은지 이미 학교 다니실때 다 배우셨을 겁니다.

 

불은 열로 인하여 탄소와 산소가 만나 연소를 하게 됩니다. 즉 CO2가 발생하게 되죠..

연소를 하게 되려면 탄소가 있더라도 산소가 없으면 불이 발생되지 않습니다.

 

때문에 작은 불이라면 소화기가 없더라도 흙, 모래, 젖은 수건이나 담요로 산소가 통하지 않도록 덮어버리면 불을 끌수 있습니다.

 

이건 중요한건데요.. 실수로 자신의 옷에 불이 붙었다면..

당황해서 뛰어 다니지 말고 물을 뿌린 후 바로 자리에 누워 몸을 회전시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