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지가 완전히 사라진다면 어떻게 될까?
본문 바로가기

먼지가 완전히 사라진다면 어떻게 될까?


2015. 12. 28.

하루라도 청소를 하지 않으면 집 안에는 먼지가 수북이 쌓인다.

만사가 귀찮아 일주일 정도 그대로 내버려 두면 나중에는 눈밭을 걷듯 '저벅저벅' 소리가 날 정도다. 생각보다 손이 많이 가는 청소, 안하고 살 수는 없을까? 먼지만 사라진다면 그런 걱정은 할 필요도 없을 것만 같다.



만약 먼지가 하나도 남지 않고 사라진다면 세상은 지금보다 훨씬 살기 좋아 질까?

 

그 대답은 어떤 면에서는 '예' 지만 다른 면에서는 '아니오' 가 된다. 왜 그럴까? 고체나 액체의 아주 미세한 입자로 이루어진 먼지는 작고 가볍기 때문에 여기저기 떠다닌다. 먼지는 흙이나 모래 쓰레기에서 날려 오기다 하고, 죽은 동식물의 몸에서 생긴 것도 있으며, 아주 작은 생물의 알이 섞여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먼지의 대부분은 우리에게 환영받지 못하며 도움을 주지도 않는다.

 

하지만 어떻게 보면 먼지들은 세상을 한층 아름답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해가 뜰 때나 저녁놀이 질 때의 붉은빛은 주로 공기 중에 떠 있는 먼지에 의해 생긴다. 해 뜰 무렵이나 저녁놀이 질 때 햇빛은 기나긴 대기층을 비스듬히 가로질러 우리에게 온다. 이때 먼지 입자는 태양광선을 산란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가늘게 좁힌 미립자 흐름의 다발인 입자선이나 파동이 물체와 충돌하여 흩어지는 현상 ) 시키는데, 붉은빛이나 노란빛보다 푸른빛이나 자줏빛을 더 많이 산란시킨다. 그 결과 푸른빛이나 자줏빛은 대부분 도중에 산란되어 없어지고, 붉은빛과 노란빛밖에 남지 않기 때문에 해가 뜰 때나 저녁놀이 질 때의 하늘이 불처럼 빨갛게 물드는 것이다.

 

그 밖에 먼지는 다음과 같은 유용한 작용을 한다. 하늘 윗부분에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던 수증기가 응결하면 미세한 물 입자나 얼음 덩어리가 되는데, 여기서 구름이나 안개가 형성된다. 또 그 덩어리가 더욱 커져서 자체의 무게 때문에 땅으로 떨어지면 비나 눈이 되기도 한다. 그런데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할 때에는 먼지 입자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수증기가 붙어 물방울이나 얼음 덩어리가 생겨난다. 그렇기 때문에 공기 중에 먼지가 전혀 없다면 비나 눈이 내릴 확률은 지금보다 훨씬 줄어들 수밖에 없다. 그렇게 되면 날씨와 기후가 크게 변해, 지구에 사는 동식물 그리고 인간은 틀림없이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