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노무현에 대한 표적수사 논란
본문 바로가기

이명박 노무현에 대한 표적수사 논란


2017. 5. 22.


<사진출처-서울신문>


2009년 5월 23일에 노무현 전 대통령이 자살로 생을 마감하자 국민들 사이에서 보수언론과 수사기관에 의한 정치적 타살이라는 주장이 계속되고 있다. 2015년에는 당시 중수부장인 이인규가 국정원이 노무현 전 대통령을 정치적으로 탄압했다고 증언하였다. 노무현의 부인 권양숙이 노무현의 회갑 선물로 받은 1억 원짜리 시계 두 개를 논두렁에 버렸다고 검찰에 진술했다는 언론 보도와 관련하여 이인규 당시 수사 책임자는 국정원 주도로 유언비어를 조작하여 언론에 흘린 정치 공작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명박 정부 시절 국정원이 18대 대통령 선거 이전까지 노무현에 대한 인신공격을 온라인에서 유포했다는 사실이 조사 결과 밝혀졌다. 물론, 노무현 대통령이 측근과 친인척 관리를 제대로 못해 일을 자초했다는 비판도 있으나 노무현에 대한 표적수사가 있었다는 점은 확실시되고 있다. 노무현 사후 경찰이 시민분향소를 강제 철거하여 이른바 '노무현 정치적 타살설'에 힘이 실리기도 했다. 노무현 사후에는 보수, 진보 언론이 서로에게 노무현의 죽음의 책임이 있다며 떠넘기기를 하는 추태를 보였다.

다만 이를 두고 이명박이 표적수사를 하였다 하더라도 결국에 '자살을 하겠다는 선택을 한 주체는 노무현'이기 때문에 이명박이 노무현을 궁지에 몰았다는 건 비약이라고 보는 시각 역시도 분명히 존재한다. 따라서, 결국 이에 대한 판단은 각자의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