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대 대통령 선거 대권주자 안철수
본문 바로가기

제19대 대통령 선거 대권주자 안철수


2017. 4. 4.

국민의당 안철수는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활동했었고, 새정치민주연합의 전 대표이자 국민의당 전 상임 공동대표이다.

2012년 대선후보 단일화 과정에서 민주통합당의 문재인 후보를 지지하며 스스로 후보직을 사퇴했으며, 이후 새정치연합을 만들어 활동하다가 민주당과 합당, 김한길과 함께 새정치민주연합의 공동 대표가 된다. 공동대표가 되고 3개월 후 제6회 지방선거를 이끈다. 바로 한 달 후 치뤄진 2014년 7월 재보궐 선거 참패의 책임을 지고 대표직을 사퇴했다. 심지어 당시 텃밭이었던 순천시와 곡성군에서 현재 새누리당 대표이자 친박계인 이정현에게 개발살났다. 2015년 12월 13일, 새정치민주연합 탈당을 결행했다. 그리고 국민의당을 창당했다. 2016년 8월 28일, 정치를 바꾸고 국민의 삶을 바꾸고 시대를 바꾸라는 명령을, 국민의당을 중심으로 정권을 교체하라는 명령을 반드시 이룰것을 선포하며 공식적으로 19대 대선에 출마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번 박근혜 탄핵 정국에서 대권주자들 중에서 탄핵을 주장한 시점이 빠른 편이지만, 그리 주목 받지 못 하였다. 또한 그 과정에서 당 장악력에 대한 의문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새로운 원내대표로 호남계 인사가 당선되면서 그의 입지가 좁아진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그 이후 당대표 마저 박지원이 당선되면서 당 내 입지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보여 출마 전선에도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이 사실상 호남 지역당으로 바뀌면서 안철수의 행보도 불투명해졌다.


반기문이 설 이후 사퇴할 것이라고 했는데 적중했다. 반기문과 지지층이 어느정도 겹치는 관계로 이득을 볼 가능성이 있다. 단점으로는 사드에 대한 말바꾸기 논란, 당의 주도권을 뺏긴 것처럼 보이는 무능한 이미지, 정체성의 모호함 등을 꼽을 수 있겠다. 2016년 11월 20일에 열린, 야권 대권주자들의 "비상시국 정치회의"에서 8명 중 1명으로 참여하였다. 2017년 초부터 이번 대선이 문재인과 자신의 양강구도가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반기문의 불출마 이전까지만 해도 희망사항이라고 여겨졌지만 황교안이 불출마한 현재 문재인과의 양강구도가 될 가능성이 높아진 편이다. 양자대결 지지율 차이는 2.4%까지 좁혀졌다.


다만,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양강구도가 되려면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이 후보를 선출하지 않거나 안철수와 후보단일화를 해야 하는데 정당이 대선 후보를 선출하지 않는다는 것은 사실상 정치를 포기하겠다는 선언에 가깝기 때문에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 또한, 후보 단일화를 하기에도 안철수와 자유한국당, 바른정당은 정치노선이 다른 점이 많다. 그리고, 국민의당 지지층에서도 적폐세력과 야합을 한다는 배신자 이미지가 생길 수도 있어서 역효과가 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안철수 본인은 자강론을 앞세워서 후보 단일화는 절대로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3월 25일 첫 경선인 광주/전남/제주 지역 경선에서 60.69%로 압승했다.

3월 26일 전북 지역 경선에서 72.63%의 득표율로 초압승했다. 이로 인해, 이변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안철수가 국민의당의 대선 후보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여론조사에서도 안희정을 제치고 2위를 되찾았다. 비교적 중도로 꼽히는 안희정의 후보 가능성이 희박해지자 안철수 쪽으로 옮겨왔다는 시각도 있고, 국민의당 경선이 호남에서 의외의 흥행 대박을 터뜨리며 존재감을 과시하여 반문 정서가 강한 지역에서 문재인 대항마로 의외의 지지를 얻고 있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안철수의 경선상대인 손학규와 박주선은 지지율이 사실상 0%에 가까운 후보들이라 큰 의미가 없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안철수는 사면심사위원회를 활성화하여 대통령의 사면권한 남용을 막아야 한다고 인터뷰 하였고, 그 과정에서 기자가 박근혜의 사면에 대해 물었을 때 '국민이 원한다면 위원회에서 다룰 내용'이라 발언하였다. 일각에서는 '박근혜를 사면하려는 것' 아니냐며 반발하였고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안철수의 발언을 강도 높게 비난하였다. 국민의당과 안철수측은 이에 반발하며, 대통령의 사면권한 남용방지를 위한 원론적인 입장표명에 대한 악의적인 왜곡, 비방을 중지하라고 대응했다. 이에 대해 다시 안철수를 비판하는 측은 '국민이 원한다면 위원회에서 다룰 내용' 이라는 발언에서 국민이 원한다면 이라는 전제가 모호하며 후에 다시 말 바꾸기를 하려는것 아니냐 라는 논리로 안철수를 비판하고 있고 이에 다시 안철수의 발언을 옹호하는 측은 국민여론을 수렴하여 사면위원회가 결정할 일이며 이미 국민여론 절대 다수가 사면을 결사 반대하고 있기 때문에 박근혜를 사면 할 이유도 없는데 단지 심사위원회에서 결정할 내용이라는 말을 과장하여 마치 대통령의 사면권을 박근혜를 사면시키는데 사용하는 것처럼 왜곡, 비약, 과장하는 것은 문제가 크다고 주장하고 있다. 더불어 오히려 이재명을 제외한 민주당 어느 후보도 박근혜 사면 불가 방침을 명확히 밝히지 않는 상황에서 내로남불식 네거티브 전략은 본인들 스스로를 깎아내리는 행위라며 반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