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사고
본문 바로가기

세월호 침몰사고


2017. 3. 23.

무능한 박근혜 정부가 부른 최악의 대참사 세월호 침몰사고.

무능한건지 조작한건지 확실하게 아직 알수는 없다.

해경이 이 사진을 찍었을때 희생자들은 아직 생존해 있었다. 곧 구조되기를 기다리면서.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최악의 인명피해를 낸, 한국 사회의 어두운 면을 낱낱이 고발한 충격적인 사고.
정부가 국민의 생명을 보호해야 할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것도 모자라 여론조작으로 희생자를 두 번 죽인 대참사.


2014년 4월 16일 전라남도 진도군 관매도 부근 해상(맹골 수도)에서 청해진해운이 운영하는 인천항-제주항 정기 여객선 '세월호'가 뒤집어져 침몰해 전체 승객 476명 중 304명이(단원고 250여명) 죽거나 실종된 사고이자 인재로, 대한민국의 바다에서 일어난 해난 사고들 중 두 번째로 많은 사상자를 낸 사고다. 참고로 가장 많은 피해자를 낸 사고는 326명이 죽은 남영호 침몰 사고였다. 남영호 사고는 1970년대에 일어난 사건이다. 하지만 이 세월호 참사는 한 특정 고등학교 학년 전체를 몰살시킨 사건이라서 사상 최악의 참사로 당분간 거론될 것이다.


이 참사는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의 안전 관리의 현실과 한국 사회의 어두운 일면을 보여줬다. 절대 일어나지 않았어야 하는 사건으로, 이 사건으로 인해 출범한 지 2년차이던 박근혜정부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전반적인 침체와 공황을 불러 온 여러 의미로 최악이자 끔찍한 사건이었다. 사건 이후 언론 뿐만 아니라 정계, 경제계 그리고 교육계 모두 이 사건에 매몰됐다고 봐도 된다. 특히 단원고가 있는 안산시는 아직까지도 이 여파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수학여행 관련 사고 중 역대 최대의 참사이면서 최악의 참사로 관련 사망자 수 1위를 기록했다. 사주인 유병언 일가의 부도덕한 경영, 선사인 청해진해운의 부실한 선박 관리와 안전교육, 이러한 현실이 발생하도록 방치한 승무원들, 이준석 선장과 항해사의 판단 착오와 늑장 대응, 그리고 그로 인한 시간 지체, '가만히 있으라' 라는 안내 방송과 그 방송을 별다른 의심 없이 수용한 승객들의 판단과 대처, 그리고 정부와 관료의 대처로 모든 구조 가능성이 물 속으로 잠겨버린 사건이기도 하다.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서해 페리호 침몰사고, 남영호 침몰사고 같은 대형 재난의 경우 불특정 다수가 피해자인 게 대부분이었는데, 이번 참사는 안산시 단원구에 있는 단원고등학교 2학년 학생 및 교직원들이 수학여행을 가던 도중에 발생함으로 어린 학생들의 피해가 대단히 크다. 단원고 학생들의 거주지인 경기도 안산시와 사고현장인 전라남도 진도군은 이 사고 때문에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사고 당일, 세월호에는 차량 150여대와 승무원 29명, 화물기사 33명을 포함해 총 476명이 탑승해 있었다. 이 중에는 3박 4일 일정으로 제주도 수학여행을 떠난 안산시 단원고등학교 학생 325명과 교사 14명이 포함되어 있었다. 오전에 발표된 해운사의 브리핑에서는 탑승자가 477명이라 했지만, 오후 브리핑에서 승선권과 탑승자 명부를 조회한 결과 462명으로 조정되었다. 하지만, 이후 23시경 해운사는 475명으로 총 인원수를 정정하였다. 이번엔 CCTV로 탑승자를 일일이 헤아렸다고.

그러다가 4월 18일 오후 10시경에는 476명으로 정정되었다. 외국인은 중국 국적의 조선족 두 명을 포함하여 총 5명이 탑승했으며 필리핀 가수 2명은 구조되었으나 중국인 이 모 씨와 조선족 이 모 씨와 러시아 출신 학생은 4월 21일 수색작업에서 발견되었다. 러시아 출신 학생은 단원고 유학생인데, 주니어 수영 선수 출신으로 수영에 매우 능숙했다고 한다. 객실에서 있으라는 방송만 아니었다면 생존 가능성이 매우 높았기 때문에 안타까움을 더했다. 

오세아노스호 침몰 사고처럼 선장이 튀었음에도 승객이 전원 구조된 사례를 본 사건과 견주어 보려는 시각도 있으나, 사건의 경위 차이가 상당한 시점에서 섣부른 추측 및 비교는 자제되어야만 한다.

현장에 가장 먼저 도착했던 정부측 인사인 해경 123정 정장(경위 김경일)의 업무상 과실 치사 혐의가 대법원에 최종적으로 유죄(징역 3년)로 결론났다. 배가 완전히 침몰하기 전인 9시 30분에 현장에 도착한, 해경에서 간단하게 대피방송만 했어도 인명피해가 극심하지 않았을 거란 법원의 판단이며, '부실 구조'로 대량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304명이 죽은 참사에 조기 통제 및 구조에 실패한 박근혜정부에게 간접적인 책임이 어느 정도 있다고 볼 수 있다. 단, 100% 정부 책임으로 돌리면 곤란하다. 어디까지나 민간기업인 청해진해운의 부실 점검 및 승객 안전 확보라는 직무를 유기한 선장이 가장 큰 원인이다. 애초에 이 사건은 선장이 선내 대피 방송만 똑바로 했다면 최소한으로 피해를 줄였거나, 더 나아가 아무도 죽지 않았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