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정화식물로 미세먼지, 황사를 극복하자!!
본문 바로가기

공기정화식물로 미세먼지, 황사를 극복하자!!


2014. 3. 31.

공기정화식물이란?

식물은 광합성 작용으로 산소를 만들기 때문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인 실내 공기 정화 기능은 다들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면 어떤 식물들을 '공기정화식물'이라고 하는 것일까요? 거의 공기 흐름이 미약한 밀림의 숲 밑에서 생육하는 식물로 이상할 정도로 광합성을 왕성하게 하는 식물들이 있는데요 미 항공우주국은 밀폐된 우주선 안에서의 공기정화를 문제로 이런 식물에 주목하게 됩니다.
1980년 이런 식물이 밀폐된 공간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한다는 사실을 처음 발견하게 됩니다.

어떻게 유해한 물질을 제거할까요??

식물이 광합성 작용을 하기 위해서는 뿌리로 부터 물을 흡수해야하고 또 호흡의 산물인 물과 이산화 탄소를 잎(기공)을 통해 내보내는 증산작용을 합니다.
공기정화식물은 증산작용도 활발해 증산에 의해 주변토양의 수분이 급속하게 식물체내로 이동하고 뿌리부근의 공기가 땅속으로 빨려들어가면서 주변의 공기의 이동을 일으킵니다.
이것이 공기정화식물의 능력이죠 뿌리로 빨려들어간 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들은 뿌리 주변에 있는 토양속 미생물에 의해 분해됩니다.

어떤식물들이 공기정화식물일까요??


1990 NASA출신인 월버튼 박사는 이런공기정화식물 50가지를 대상으로 유해물질 제거능력 테스트를 하게 되는데요

1.휘발성 유해물질 제거능력
2.증산작용율(습도조절 능력)
3.재배 관리의 편리성
4.해충에 대한 즉응능력

NASA가 뽑은 공기정화식물 1위~10위

1. 보스톤펀





2. 아레카 야자




3. 관음죽




4. 인도고무나무



5. 잉글리시 아이비



6. 스파티 필름





7. 행운목


8.에피프레넘/포토스



9.마지나타 드라세나




10싱고니움




공기 정화식물로 유행했던 '산세베리아"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 한 속의 총칭으로 공기정화에 탁월한 효과를 지니고 있습니다.
하지만 50개 식물중 유해물질제거능력과 증산작용율에서 꼴지에서 47위를 한 식물입니다.
단 관리의 용이성(다육식물로 물을 자주 안주어도 돼 기르기 편해서) 과 해충에 대한 적응 능력에서 높은 점수를 얻어 27위를 기록했습니다.

한마디로 공기정화능력은 떨어지나 기르기는 쉽다는 얘기죠.

산세베리아


산세베리아는 밤에도 산소를 배출한다?

밤에 산소를 배출하는 식물은 산세베리아 뿐만아니라 밤과 낮의 기온차가 심한 지역에 사는 상당수의 다육식물과 아나나스류 그리고 난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