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식 능력이 없는 노새
본문 바로가기

생식 능력이 없는 노새


2016. 12. 22.


노새는 암말과 당나귀 수컷 사이에서 태어난 종간 잡종입니다.
또한 라이거는 수사자와 암호랑이 사이에서 태어난 잡종이며, 수호랑이와 암사자 사이에서 태어난 티글론도 같은 종간 잡종입니다.
 
그런데 이런 잡종들은 대부분 생식능력이 없습니다.
 
이들 잡종들이 생식세포를 만들기 위해 감수분열을 할 때 양친으로부터 받은 염색체가 달라 접합이 이뤄지지 않아 정상적인 배우자를 만들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감수분열 전기에 상동염색체는 각각 접합해 2가 염색체(사분염색체)를 형성하고, 이것이 적도면에 배열된 다음 양쪽으로 갈라지게 됩니다.
 
그런데 노새는 상동염색체가 너무 달라서 서로 인식하지 못해 접합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염색체가 무작위로 분리되고 결국 비정상적인 배우자가 만들어지므로 생식이 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수노새의 경우 더욱 두드러지는데, 암노새에서는 아주 드물게 생식에 성공해 새끼를 낳아 기를 때도 있습니다.



*** 아래는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용어 정의입니다.
 
상동 염색체는 감수분열시에만 생기는 것입니다.(생식세포는 감수분열을 통하여 만들어집니다.)

그런데 접합이란 상동염색체끼리 동원체에 붙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래서 감수분열시 염색체 종류는 일정히 유지되지만 각각의 염색체 정보는 세대를 넘어가도 계속 유지되도록 감수분열이 되는 것입니다.

접합을 해서 상동염색체에서 전체의 수는 반으로 줄어 생식 체포의 염색체의 수를 반으로 줄입니다.

그래서 수정시 다시 종의 원래 염색체 수대로 복귀시켜 종의 고유한 염색체 종류와 수를 유지시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