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조각모음 효율 높이는 방법
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조각모음 효율 높이는 방법


2015. 12. 28.

< 문제상황 >

조각모음을 수행시 많은 조각(100~90000정도)으로 조각난 파일들은 해당 드라이브의 여유공간에 따라 한번에 조각모음이 잘안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파일들은 대부분 3가지인 경우가 많다.

 

1. 다운받은 파일

2. 대용량 파일(영화, 게임,유틸)

3. 여러파일을 압축한파일

 




조각모음은 해당 조각난 파일에 대하여 읽기,쓰기, 지우기, 를 반복하므로 조각난 만큼 하드에 접근하므로 그만큼 하드에 무리를 줄수도 있다.

 

때문에 하드억세스를 줄이면서 조각모음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 이 필요하다.

 

 

< 해결방법 >

 

예를 들어 두개의 드라이브( C:와  D: 라 하자)로 파티션 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D:드라이브를 조각모음할때의 경우를 생각해보자.

 

조각모음 프로그램은 요즘 많이 사용하는 Diskeeper 를 사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알아보겟다. 굳이 Diskeeper 일필요는 없고 analyze 와 view the most fragmented files 가 가능한 제품이면 뭐든 상관없다.

 

조각모음전 analyze 를 실시하여  most fragmented files 를 확인한다. 즉 많이 조각난 파일들을 확인한다.

Diskeeper 의 경우 analyze를 실행하면 fragmentation 텝에서 view the mostfragmented files 를 선택할수 있다.

 

이들 파일들중에서 조각난정도가 50 이상인 파일들을 확인하여 C: 드라이브로 "이동"시킨후 다시 원위치 시킨다.

이 과정에서 c: 드아리브의 조각난 정도에 따라 2~50 까지 조각정도가 줄어든다.

즉, D: 드라이브에 9,897 조각으로 조각나있는 700MB 짜리 영화 파일이  있었다면 이 파일을 c: 에 "이동"시켰다가 다시 원래 자리(D:)로 "이동" 시키고 나서 다시 analyze 를 실시 해보면 9,897 이라는 숫자가 2~50 정도로 줄어들게 된다.

 

조각정도가 50 이상인 파일들에 대한 파일이동과 재이동이 끝나면  조각모음(Defragment) 를 실행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조각모음을 하게되면 조금 귀찮기는 해도 하드의 억세스를 많이 줄일수 있고, 조각모음 완성율도 높아지게 된다.

대체로 다운받은 파일들이 엄청나게 조각나는(보통 500~10,000 정도) 이유는 회선상으로 다운 받는 속도보다 하드의 런닝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기 때문이며 또한 다운중에 다른 작업에도 하드가 억세스 되므로 하드가 효율적으로 파일을 저장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혹여 이렇게 파일을 이동 재이동 시킨 후 조각모음하는 것과 그냥 조각모음하는 것이 크게 다를것이 있냐는 의문을 가지시는 분들이 있을것이다.

 

이 두가지 방법은 많은 차이가 있다.

 

일단 가장 큰 이유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9,000 대로 조각난 파일이 2~50 대로 떨어지기는 힘들다. 결국 작은 용량의 파일들만 조각모음이 의도대로 수행될뿐이며 많은 조각으로 퍼져있는 대용량 파일은 거의 괄목적인 성과를 얻기힘들다.

 또한 구조적인 이유로 조각모음은 jumping 방식으로 조각모음을 수행하기 때문인데, 이는 마당에 펼쳐져있는 1000개의 구슬을 한자루에 모으기위해 10개 들이 자루에 하나씩 모으고 이 10개들이 자루를 50개 들이 자루에 모으고 그동안 남은 자루들을 기워 100개들이 자루 를 만들고 여기에 다시 50개 들이 자루를 담아나아가서 1000개를 모으는 방식과 유사 하다. (자루에 번호를 붙이고 전과정을 글로 적어 놓고 자루를 하드의 공간이라 생각해 볼때 "자루"라는 단어가 몇번 쓰였을까? 그 수만큼 의 하드 억세스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상의 방법에 따르면 파티션된 드라이브는 대체로 회전속도가 비슷하므로 D:에서 읽어내는 속도와 c: 에 기록하는 속도가 거의 비슷하고 또 일정하며 빠른 시간에 수행할수 있기 때문에 파일의 이동과 재이동 과정에서 일종의 "조각모음" 효과가 일어나게 된다.

 

또한 이과정에서 이 억세스는 똑같이 9,000대로 조각난 파일이라 할지라도 단지 두번이 추가될뿐이여서 기존의 일반적인 방법과는 많은 억세스 빈도의 차이가 있다.

보통 조각모음을 자주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 분들의 이유는 이 억세스 빈도의 커짐에 의한 디스크 수명 단축을 우려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상의 방법에 따르면 하드의 억세스도 줄일수 있고 조각모음 효율도 높일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